주의 : OS, VM, 서버 환경에 대한 지식이 매우 없는 사람의 방법임으로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더 좋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댓글에 더 좋은 방법을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E5 멀티플레이 FPS 강의를 듣는데, 멀티프레이 테스팅을 위해 기존에 사용하는 장치외에도 추가로 장치가 필요하다.
아직 이유는 모르지만 엔진 내에서 테스트를 하면 온라인 서브시스템 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현재 가진 노트북은 LG Gram이라 언리얼엔진 및 게임 실행이 불가능해 현재 사용중인 데스크톱만 사용하여 환경 구축을 하려고 한다.
유니티의 경우 아래 링크의 개발일지에 소개된 것 처럼 좋은 방법이 있는 것 같은데, 언리얼 엔진은 좀 더 찾아봐야 할 것 같다.
[쉐잎오브드림] 로그라이크 멀티겜 #2 - 타격감 개선하기 - 인디 게임 개발 마이너 갤러리
[쉐잎오브드림] 로그라이크 멀티겜 #1 - 첫 개발일지연휴 잘 보내셧나요 ㅎㅎ대학생이 삘받아서 휴학하고 만드는 로그라이크 멀티겜 Shape of Dream 만든 것최근에 들어 몬스터를 공격하거나 처치했
gall.dcinside.com
+ 검색 중에 발견한 넷마블 기술블로그 게시글로 여유가 있을 때 한번 시도해 보려 한다.
https://netmarble.engineering/unreal-engine-multi-client-at-one-time/
윈도우 샌드박스 : 현재 사용중인 방법
윈도우 샌드박스의 경우 아주 간편하게 1회용 윈도우를 띄울 수 있으나, 가장 큰 단점으로 샌드박스(프로그램) 종료 시 초기화된다. (피시방을 생각하면 편하다.)
따라서 고민이 되긴 했으나, 호스트(기존 장치)에서 공유폴더를 만들어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초기화 문제를 우회할 수 있다.
공유폴더 생성 및 가상 GPU 설정
https://forbes.tistory.com/1143
윈도우10 Sandbox에서 호스트 OS간에 공유 폴더를 만드는 방법 (폴더 매핑)
HowTo - Windows 10 호스트 OS와 Sandbox 간에 공유 폴더 사용하기 Windows 10 버전의 가장 편리한 기능 중 하나인 Windows Sandbox(이하 샌드박스)는 가상 환경에서 전체 Windows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실제 시스
forbes.tistory.com
위와 같이 설정을 해주면 공유 폴더를 만들어서 사용가능하다.
공유 폴더는 피시방에 설치한 프로그램들 처럼 샌드박스를 실행시 초기화되지 않는다.
이곳에 테스트를 하기위해 패지킹한 게임을 넣어주고(Windows 폴더), 강의에서 Online Subsystem을 Steam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스팀 클라이언트를 새로 설치해준다.
또한 가상 GPU 사용을 위해 위 블로그 글에서 공유폴더 설정과 더불어 아래와 같이 MappedFolders.wsb 파일을 설정한다.
<Configuration>
<VGpu>Enable</VGpu>
<MappedFolders>
<MappedFolder>
<HostFolder>C:\UnrealProjects\ShareFolder</HostFolder>
<ReadOnly>false</ReadOnly>
</MappedFolder>
</MappedFolders>
</Configuration>
<VGpu>Enable</VGpu>
가상 GPU 사용을 위해 추가한 부분으로, Enable을 통해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한다.(반대로 Disable도 가능)
또한 기존의 스팀계정 외에 테스팅을 위한 계정을 하나 만들어 준다.
Test 방법
여기까지 세팅하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테스트 할 수 있다.
1. 공유폴더에 빌드 폴더를 넣어준다.
2. 호스트와 가상환경 각각의 Steam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3. 실행파일(게임)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오류 문구가 뜨는데 예(Y)를 통해 설치해준다.
(설치 하면 윈도우에서 ~~ 설치하지 못했다고 뜨는데 일단 실행은 잘 된다. 일단 무시!)
4. 각 환경에서 이제 실행파일(게임)을 실행시키고 테스트를 한다.
주의사항: 종종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뜨면서 실행이 안될 때가 있는데, 컴퓨터를 재시작 하는 것 외에는 아직 해결법을
찾지 못하였다.
Hyper - V : 우선 가상 GPU 사용불가능 이슈로 패스
https://learn.microsoft.com/ko-kr/virtualization/hyper-v-on-windows/about/
Windows 10의 Hyper-V 소개
Hyper-V, 가상화 및 관련 기술을 소개합니다.
learn.microsoft.com
Hyper - V의 경우 최근부터 보안문제로 가상 GPU 사용이 불가능 하다고 한다.
엔비디아 GPU 패스스루를 사용하면 가능할 것 같긴한데, 우선 빠른 환경 구축을 위해 패스한다.
이 외에도 방법이 아예 없을 것 같진 않아서 좀 더 찾아봐야할 것 같긴 하다.
'Unreal Engine > Mem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ient-Side Predicting 및 RepNotify 함수 실행 조건(?) (1) | 2024.02.17 |
---|